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

가치투자의 기본개념 제 글에 달린 댓글들을 보다가, 생각보다 가치투자의 기본적인 개념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삼성전자의 과거 주가와 주당순자산의 추이를 보여주는 '아이투자'에서 찾은 그래프입니다. 기업이 가진 모든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이 순자산이고, 순자산을 주식수로 나누면 주당순자산이 됩니다. 즉, 내가 삼성전자의 주식을 한주 사면 얼마나 순자산을 가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주당순자산이 됩니다. 그러니까, 삼성전자가 가진 현금에 공장과, 땅, 장비 등을 팔아 합한 후, 여기서 빚을 제했을 때 내 몫이 얼마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대게 이익을 내는 기업의 시장가치는 순자산보다 높게 평가받는 것이 정상적인데, 기업이 가진 자산을 이용해 이익.. 더보기
지켜볼 주식 - 미원상사 (코스피: 002840) '미원에스씨'는 제가 4년 정도 보유하여 처음 그 주식을 샀을 때 기대했던 5배 정도의 수익을 달성하고 매도했던 좋은 추억을 안겨준 주식이었습니다. 그래서, 미원에스씨의 모태가 되는 회사인 이 종목을 분석해 보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사실 미원에스씨뿐만 아니라 미원화학 등의 모든 미원그룹의 계열사들의 모태가 되는 기업이 이 회사입니다. 회사이름에 '상사'가 들어가므로 '뭔가 원자재 같은 것을 수입하고 수출하는 회사인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이 회사는 LG생활건강이나 동진쎄미켐같은 회사들이 만드는 제품의 원료인 중간재를 만드는 정밀화학 기업입니다. 중간재라는 말은 자연에서 채굴한 원자재를 정제하여 화학원료를 만드는 회사들에게서 그 원료를 받아서 최종적인 화학제품(그러니까, 화장품이나 반도체 공.. 더보기
10년을 보유할 종목 제 이전 글 '나의 종목 발굴법'에서 질적 분석을 설명하려면 밤을 새워도 모자랄 것이므로, 간단히 한 마디로 정리한 저의 질적 분석 포인트는 '이 회사가 10년 후에도 반드시 성장해있을까?'라는 짧고 다소 무책임한 문장으로 설명을 대신하였습니다. 사실 제가 이 블로그에 글을 쓰는 목적은 투자관의 형성과 이 질적 분석을 설명하기 위함입니다. 계량적 분석은 누구나 공부를 좀 하고, 연구를 해본다면 쉽게 터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질적 분석은 그렇게 간단하지가 않습니다. 제가 할 수 있는 최상의 조언은 글을 많이 읽고 생각을 많이 하라는 것 외에는 없습니다. 많이 읽기는 투자에 관심만 있다면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 역시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그런데, 쇼펜하우어가 말했듯, 인간은 생각하기를 죽.. 더보기
장기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아침마다 틀어놓는 증권방송에서 포스코나 한국전력의 예를 들며 장기투자의 무용론을 주장하는 전문가라는 사람들을 꽤 자주 봅니다.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이 정도면 개미들 중에서 고점에 물려서 본전을 회복하기 위한, 뜻하지 않은 장기투자자를 제외하고, 처음부터 장기투자를 생각하며 주식투자를 시작하는 사람은 주식을 사는 사람들 중 1~2%에도 못 미칠 것이라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다음의 포스코와 한국전력의 10년간 주가추이를 보면 이 '장기투자 무용론'이 일견 타당해 보이기도 합니다. '10년을 보유할 주식이 아니라면 단 1분도 보유해서는 안 됩니다.' 유명한 워런 버핏의 말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왜 장기투자를 해야 할까요? 다음의 구체적인 예가 더 쉽게 다가올 것 같습니다. 다음은 'LG생활건강'의 2005.. 더보기
"하루만 참았어도 대박 터졌는데.." 고통받는 개미들 제 글을 즐겨 읽는 분들과 나누고 싶은 글입니다; 하루만 참았어도 대박 터졌는데… 고통받는 개미들 최준철의 같이 하는 가치투자 | 한경닷컴 (hankyung.com) "하루만 참았어도 대박 터졌는데…" 고통받는 개미들 [최준철의 같이 하는 가치투자] "하루만 참았어도 대박 터졌는데…" 고통받는 개미들 [최준철의 같이 하는 가치투자], 한경닷컴 더 머니이스트 '주식투자의 고통' 변동성을 이기는 방법 주식 투자자 괴롭히는 '변동성' 투자대상 www.hankyung.com 2021년 12월에, 동해에서.. 더보기
시장을 이기기 누군가 저에게 어떤 주식을 사면 좋겠냐고 물으면, 주저 없이 추천해주는 종목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ACWI입니다. MSCI ACWI 지수는 한국 시장지수인 코스피 나 미국 시장지수인 S&P500처럼 전 세계의 경제규모가 큰 대부분의 시장을 포괄하는 지수입니다. ACWI 지수에 투자하는 방법은 구글에서 'ACWI'를 검색해 보면 쉽게 찾을 수 있기에, 길게 설명을 하지는 않겠습니다. 단, 주의할 점은 미국 달러로 살 수 있는 펀드나 ETF를 고르되, 파생상품이 아닌 현물 주식을 주로 보유하는 상품을 고르고, 환헷지는 하지 말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iShares MSCI ACWI ETF (Nasdaq: ACWI)'라면 좋아 보입니다.) 그리고, 달러로 입금될 배당금을 가급적 모두 재투자하기를 추천.. 더보기
개미가 돈을 잃는 이유 개미들이 주식투자로 돈을 잃는 이유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남들이 실패하는 이유를 알면, 나는 그 길 과는 다른 길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미들이 주식으로 돈을 잃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부분의 한국사람들은 20~30대 때는 주식투자는 위험하다는 주변의 말을 많이 들어 주식투자에 관심이 없다가, 40대쯤 되면 직장생활을 10년 넘게 했는데도 모아둔 돈이 노후를 대비하기에는 부족함을 깨닫게 됩니다. 늙어서 대리운전이나 폐지 줍기를 할 수는 없기에, 무언가 투자를 생각하게 됩니다. 부동산은 기본단위가 억으로, 부모의 도움이 없다면, 담보대출을 받아야 하는데, 매달 수백만 원에 달하는 돈을 이자로 갚아야 함을 깨닫고 주식시장이라는 곳으로 눈을 돌립니다. 최근에는 작년에 주식시장이 좋.. 더보기
지켜볼 주식 - DB하이텍 (코스피: 000990) 오랜만에 국내 주식입니다. 쉬는 날을 제외하면 거의 매일 주식을 분석하고 있음에도 이토록 좋은 국내 주식을 찾기가 어려운 이유는 제 기준이 높아서 이기도 하지만, 좁은 내수시장과 수출 위주의 산업구조 덕분에 한국시장에는 경기변동주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경기변동주가 무조건 나쁘다는 말은 아닙니다. 산업이나 업종의 주기가 길지 않고, 꾸준히 성장하는 회사의 주식이라면, 그 주기에 따라 출렁이는 주가는 싸게 사서 비싸게 팔 기회를 자주 만들어 주게 됩니다. 반도체산업은 꾸준히 성장하는 산업이면서, 고점에서 저점까지가 보통 1~2년 정도의 짧은 주기를 가진 산업이므로, 이런 산업의 대표적인 예가 아닐까 싶습니다. 반도체산업 중에서도 제가 좋아하는 분야는 아날로그 반도체인데, 큰 변화가 없는 분야라서 그렇..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