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삼성전자

10년을 보유할 주식 - 휴온스 (2) 동사의 작년 실적을 2019년과 비교하면, 매출액은 11.4%, 영업이익은 11.8% 늘었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병원들의 내방객이 줄어서 전반적으로 약 처방이 줄었다고 하는데, 이 정도면 대단히 만족스러운 숫자입니다. 처음 이 주식을 샀던 작년 12월에 이 주식은 제가 주식을 고를때 고려하는 세 가지 요건인 이익의 안정성과 사업의 성장성, 주가의 저평가를 모두 충족하는 주식이라는 생각이었는데, 그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오히려 당시보다 낮아진 주가를 생각하면, 이 주식을 좀 더 사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저는 6개월에 한 번씩 주식 포트폴리오 내의 각 종목들의 비중이 비슷해지도록 재조정을 해주고 있어서 오른 주식을 팔아 이 주식을 더 사게 될 것입니다.) 제가 '10년을 보유할 주식 - .. 더보기
내재가치의 계산 제 주변에서 주식을 살 때 내재가치를 계산해 본다는 사람을 보지 못했습니다. 아마도 내재가치의 계산은 극소수의 가치투자자들만 하는 듯합니다. 그러면 내재가치의 계산이 왜 필요한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다음은 2013년 2월 에서 2016년 3월까지의, 대략 3년간의, 삼성전자 월간 주가 차트입니다. 해당 3년간 주가가 오를만하면 떨어지고, 다시 오를만하면 또 떨어지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주가가 지지부진했던 해당 3년간 주식을 인내하며 보유했을 사람들이 몇이나 되었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다음은 '아이투자'에서 찾은 삼성전자의 주가와 주당순자산의 장기 추이입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주가가 주당순자산에 근접한 (즉, PBR이 1에 근접한) 시점이 좋은 매수 기회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위에서.. 더보기
삼성전자와 삼성바이오로직스 저는 삼성전자를 우량주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건 또 무슨 개소리인가?'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다음의 제 얘기를 천천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삼성전자를 우량주로 보지 않는 이유가 대부분의 단기 투기꾼들처럼 주가가 무겁게 움직이기 때문은 아닙니다. 제가 생각하는 우량주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과거(가급적 15년 이상)의 영업실적이 좋았을 것 2. 재무구조가 좋을 것 (적은 부채, 좋은 유동비율) 3. 경쟁이 심하지 않은 산업에 종사할 것 4. 미래 전망이 밝을 것 1번과 2번의 기준은 과거에 대한 영역입니다. 과거의 영업실적이 좋았기에 현재의 재무구조도 좋을 수밖에 없는 것인데, 이 기준으로는 삼성전자는 당연히 합격입니다. 문제는 3번과 4번입니다. 경쟁에 관해서라면 삼성전자는 둘째가라.. 더보기
내친구 이야기 오늘 유가가 한 달간 두배 가까이 올랐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사상초유의 마이너스 유가가 지난달 이맘때쯤 이었으니 그럴 만도 합니다. 기사를 읽다가, 한달쯤 전 아파치 주식을 사겠다고 전화를 했던 친구가 생각났습니다. 그보다 한 달쯤 전에는 지금 삼성전자 주식을 사면 어떻겠냐고 물었던 친구입니다. 얼핏 생각하면 그 친구의 계획이 그럴듯해 보입니다. 주가가 최저점을 찍고 막 회복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삼성전자 주식을 사고, 유가가 최저점을 찍고 막 회복하던 시점에 원유 채굴업체인 아파치의 주식을 산다는 것이었으니 말입니다. 이 글을 읽고있는 많은 사람들처럼 이번 코로나 사태에 삼성전자 주식을 사며 주식투자를 시작했던 친구인데, 한두 달 만에 주식투자를 꽤 오랫동안 한 사람처럼 그럴듯한 종목을 고르고 있었습니.. 더보기
두산중공업과 우리사주 두산중공업은 경쟁력을 갖춘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발전설비 분야는 물론이고, 해수담수화 설비, 환경설비 같은 미래의 인프라에도 기술기반을 가지고 있는 건실한 회사입니다. 최근 5년간의 영업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순이익과 ROE가 지속적으로 마이너스인 것을 보면, 언론에서 얘기하는 건설사의 부실을 막으려다가 전체 그룹이 유동성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이 사실인 것 같습니다. 역시, 기업들은 유동성 위기로 파산하게 됩니다. 기업의 유동성이나 재무제표를 공부해 보고 싶다면 고미야 가즈요시의 '1초 만에 재무제표 읽는 법'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두산중공업 얘기를 꺼낸 것은 우리 사주 얘기를 하기 위함입니다. 유동성이 부족했던 두산중공업은 작년에 유상증자를 했고, 우리 사주 발행이 인기가 있었다고 합.. 더보기

반응형